<균형 국민 소득의 결정>

  • "거시 경제의 균형은 어떻게 형성 되는가?" 에 대한다
  • 균형을 야기하는 총수입과 총공급 : 전체의 수요와 전체의 공급의 합 
  • 고전학파와 케인즈의 견해는 총공급과 총수요 중 무엇을 중요시 하는지에 대한 차이로 볼 수 있다.


[1] 고전학파

  • 총공급만이 균형을 결정하고, 총수요는 균형 형성에 아무런 기여를 하지 못한다
  • 균형 노동량이 국가 경제 전체의 균형 국민 소득을 결정한다.
  • 고전학파의 2가지 가정 
    1. 보이지 않는 손
      • 이기적인 개인들의 사익 추구 의 의사결정으로 균형이 생성, 효율적인 자원배분이 이루어진다  → 거시경제도 마찬가지다
      • 초과 공급시 : 재고가 늘어나고, 가격을 낮추어, 소비가 늘고, 재고가 줄어든다  → 균형의 회복
      • "아무리 재고가 쌓여도 가격을 낮추어야 소비자에게 매력도가 높아지고, 소비가 늘어난다. 새로운 균형을 만든다"  → 가격변수의 신축성을 전제로 함 (가격은 경제상황에 따라서 오르고 내릴 수 있음) 
    2. 세이의 법칙
      • 공급이 수요를 창출한다 : 만들어 놓으면 팔린다!
      • 과거에는 물자가 부족하기 때문에 존재여부가 상품의 종류 보다 중요한 때였다는 것으로 이해할 수 있다
  •  총공급을 중요시
  • 균형 소득의 결정 : 공급이 수요를 창출하기 때문에 생산 함수로부터 시작하고, 생산함수 는 단기에는 Y = (K, L)이므로 노동의 수요와 노동의 공급이 중요하다 → 임금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 곳에서 노동의 균형이 형성, 
  • 수요는 필요 없다, 만들면 무조건 수입!

고전학파



[2] 케인즈

  • 균형 국민소득의 결정에 총공급이 아닌 총수요에 의해 균형이 달성된다
  • 총수요를 중요시 함
  • 총수요가 증가하면 실질 GDP도 증가한다
  • 이론의 등장 배경
    • 노동시장의 초과 공급 등장 (실업률 30%까지 상승하는 일이 일어난다)
    • 고전학파의 이론대로라면, 노동시간의 초과공급도 임금이 하락해서 노동 수요 증가로 실업의 감소가 이루어져야 한다
    • 케인즈 : 현실의 임금은 계약임금이다. 현실에서의 가격변수는 매우 경직적이다
    • 세이의 법칙 부정 : 수요가 공급을 창출한다. 기존의 공급이 수요를 창출하는 것은 물자 부족에서 벗어나기 전이다
  •  케인즈의 의견
    • 총수요 (=유효수요; 지출 국민소득) = 소비수요 + 투자수요
    • 국민소득 3면 등가 : 총생산 = 총소득(총분배) = 총수요(총지출)
    • 투자 : 투자수요(사전에 계획한 투자, 계획된 재고) Id + 투자 지출(사후 실현된 투자, 실현된 재고) I 
    • 소득에 따른 소비 = 기초소비 (a) + 소득(Y) * 한계소비성향(b)
    • 투자수요 : 계획한 투자(투가, 재고) / 투자지출 : 진짜 투가 된것
    • 참고 : 정부지출과, 수출은 외생변수다, 다른 요인으로 인해 변한다. 케인즈의 이론에서는 민간 소비와 기업투자만 보아도 좋다. 
  • 균형 달성
    • 생산량이 유효수요 보다 많은 상태 (그림의  화살표의 이동) : 계획된 재고증가보다 실현된 재고 증가가 커서 의도하지 않은 재고가 증가한 상태가 된다. 이 경우에는 재고로 인한 생산이 감소하고 국민소득은 감소하여 균형수준에 이르게 된다

케인즈
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테셋 용어 정리  (0) 2019.08.09
시장 이론 - 독점시장, 독점적 경쟁시장, 과점시장  (0) 2019.08.02
시장 이론 - 완전 경쟁 시장  (0) 2019.08.02
한계 기술 대체율 체감의 법칙  (0) 2019.07.30
단기비용 함수  (0) 2019.07.30

<독점시장>

  • 특허, 규모의 경재, 생산요소의 독점
  • 독점기업은  유일한 공급자 (이 시장에서 한개의 기업 밖에 없다)
    • 시장 전체의 공급량 = 한 기업의 공급량 
    • 시장수요곡선 = 독점기업의 수요곡선
    • ( 독점 기업의 수요곡선이란, 독점에서는 기업 자체가 산업이다. 즉, 기업이 마음대로 가격을 결정할 수 있는 위치에 있다는 뜻이다. 완전경쟁시장에서 기업은 정해진 일정한 가격내에서 이리저리 자신의 비용곡선을 생각하며 산출량을 결정하는데 비해, 독점시장에서는 기업 하나가 마음대로 가격과 산출량을 설정할 수 있다. 수요자의 수요곡선은 우하향한다. 가격이 싸지면 많이 구입한드는 뜻이다. 그러면 기업은 수요자전체의 수요곡선을 보고, 자신이 딱 봤을 때 가장 이윤을 많이 낼 수 있는 지점에서 산출량과 가격을 결정해 버리게 된다. 때문에 시장수요곡선이 독점기업의 수요곡선이 된다) 

  • 이윤 극대화를 하는 방법
    • MR = MC (한계 수입 = 한계 비용) 
    • MR : 절편은 수요 곡선과 동일하고, 기울기는 수요 곡선의 2배 
    • 자중 손실이 발생한다 
  •  가격차별 : 같은 재화, 서비스에 다른 가격을 적용한다 

독점시장의 균형


<독점적 경쟁시장> 
완전 경쟁시장을 특징 + 독점 시장의 특징 
- 완전경쟁 : 수많은 공급자, 수요자 / 시장으로의 진입과 퇴출이 자유로움 -> 장기적 이윤이 0 
- 독점 시장 : 제품의 차별화 : 조금씩 차별화 --> 가격 설정자, 우하향하는 수요곡선 
- 가격경쟁을 하지 않음, 비가격 경쟁을 함 (광고, 홍보, 마케팅 등) 
- 단기에는 이득/손실 가능 하지만, 시장으로의 진입과 퇴출이 자유롭기 때문에 가격이 변동 되면서 이윤이 0으로 됨 
- 유휴 설비가 존재함 : 최적 시설 규모까지 만들지 못했다. 

<과점시장> 
- 굉장히 소수의 경쟁자 
- 예 : 통신 회사, 정유 회사 
- 한 기업의 행동이 나머지 기업에 막대한 영향을 미친다 -> 기업간의 상호 의존도 높다 -> 전략이 발생(게임 이론) 
- 비가격 경쟁, 담합 등에 비공정 행위가 증가한다 

내쉬전략  
- 복수개 존재 할 수 있음 
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테셋 용어 정리  (0) 2019.08.09
거시경제의 균형 - 균형 국민 소득의 결정  (0) 2019.08.05
시장 이론 - 완전 경쟁 시장  (0) 2019.08.02
한계 기술 대체율 체감의 법칙  (0) 2019.07.30
단기비용 함수  (0) 2019.07.30

□ 완전 경쟁 시장의 특징

  • 시장에서 형성된 가격을 그대로 받아들임 
  • 모두 같은 단가에 판매한다 : AR = MR = D
  • 총수입 곡선이 직선이다 ('개별 기업이 직면하는 수요 곡선'이 이미 형성된 가격 P의 수준의 수평선이 된다)
  • 이유 :  가격이 이미 주어져 있고, 그 가격은 소비자의 수요 상관이 없다. 개별 기업 하나는 어떻게 해도 가격을 바꿀 수 없으니까 한 재화를 생산하면 어쨌든 주어진 가격만큼 돈을 받는다.

□ 이윤 극대화 --> 모든 시장에서 일치

  • (총수입 TR - 총비용 TC) 모든 기업의 목표임
  • 조건 : MR = MC (한계 수입과 한계 비용이 일치하는 지점) ; 한단위 수입이 증가할때 증가하는 수입, 하나 더 만들때 들어가는 비용 

□ 완전 경쟁 시장의 단기 

  • 시장의 진입과 이탈이 자유롭지 않음
  • 이득, 손실을 볼 수 있음

완전 경쟁 시장의 단기 곡선

 

□ 완전 경쟁 시장의 장기 

  • 시장의 진입과 이탈이 자유로움
  • 시장의 진입과 이탈로 장기 균형을 이루면서, 이득, 손실 없이 이윤이 0이 된다 (P3점)

완전 경쟁 시장의 장기 균형 도달

비트 b 2^0
바이트 B 2^3
킬로바이트 KB 2^(3+10)
메가바이트 MB 2^(3+20)
기가바이트 GB 2^(3+30)
테라바이트 TB 2^(3+40)
페타바이트 PB 2^(3+50)
엑사바이트 EB 2^(3+60)
제타바이트 ZB 2^(3+70)
요타바이트 YB 2^(3+80)

 

나에게 부여된 테이블 권한을 확인하는 방법

 

SELECT * FROM USER_TAB_PRIVS_RECD WHERE TABLE_NAME IN ( '테이블명')

 

칼럼명 내용
OWNER 객체의 소유자
TABLE_NAME 테이블 명
GRANTOR 권한을 부여한 사용자명
PRIVILEGE 테이블 권한
GRANTABLE 권한 부여 가능 여부
HIERARCHY 권한이 hierarchy option 이 있는지 여부

 

'웹 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자바 - 정규식 숫자만 남기기  (0) 2019.08.06

단기 생산 비용 
- 자본(고정) : 이자율(자본의 가격) * 자본의 투입량
- 노동(가변) : 임금 * 노동 투입량
- 총비용 + 자본 + 노동


- 평균 비용 : 하나 생산하는 데 평균적으로 얼마나 드는가?
- 한계 비용 : 한단위 생산을 추가했을 때, 총 비용의 증가분 (비용 증가량 점점 줄지만, 결국 계속 늘어난다)

- 관계

    1) 평균 비용이 하락하는 구간 : 평균 비용 > 한계 비용

    2) 평균 비용이 상승하는 구간 : 평균 비용 < 한계 비용

    3) 평균 비용의 최저점 : 평균 비용 = 한계 비용

무차별 곡선

- 서로 동등한 효용를 제공하는 점들의 자취

- 효용은 기수적이 아닌 서수적 효용을 나타낸다 ( 순위 정보만 알 수 있다.)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