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독점시장>
- 특허, 규모의 경재, 생산요소의 독점
- 독점기업은 유일한 공급자 (이 시장에서 한개의 기업 밖에 없다)
- 시장 전체의 공급량 = 한 기업의 공급량
- 시장수요곡선 = 독점기업의 수요곡선
-
( 독점 기업의 수요곡선이란, 독점에서는 기업 자체가 산업이다. 즉, 기업이 마음대로 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는 뜻이다. 완전경쟁시장에서 기업은 정해진 일정한 가격내에서 이리저리 자신의 비용곡선을 생각하며 산출량을 결정하는데 비해, 독점시장에서는 기업 하나가 마음대로 가격과 산출량을 설정할 수 있다. 수요자의 수요곡선은 우하향한다. 가격이 싸지면 많이 구입한드는 뜻이다. 그러면 기업은 수요자전체의 수요곡선을 보고, 자신이 딱 봤을 때 가장 이윤을 많이 낼 수 있는 지점에서 산출량과 가격을 결정해 버리게 된다. 때문에 시장수요곡선이 독점기업의 수요곡선이 된다)
- 이윤 극대화를 하는 방법
- MR = MC (한계 수입 = 한계 비용)
- MR : 절편은 수요 곡선과 동일하고, 기울기는 수요 곡선의 2배
- 자중 손실이 발생한다
- 가격차별 : 같은 재화, 서비스에 다른 가격을 적용한다
<독점적 경쟁시장>
완전 경쟁시장을 특징 + 독점 시장의 특징
- 완전경쟁 : 수많은 공급자, 수요자 / 시장으로의 진입과 퇴출이 자유로움 -> 장기적 이윤이 0
- 독점 시장 : 제품의 차별화 : 조금씩 차별화 --> 가격 설정자, 우하향하는 수요곡선
- 가격경쟁을 하지 않음, 비가격 경쟁을 함 (광고, 홍보, 마케팅 등)
- 단기에는 이득/손실 가능 하지만, 시장으로의 진입과 퇴출이 자유롭기 때문에 가격이 변동 되면서 이윤이 0으로 됨
- 유휴 설비가 존재함 : 최적 시설 규모까지 만들지 못했다.
<과점시장>
- 굉장히 소수의 경쟁자
- 예 : 통신 회사, 정유 회사
- 한 기업의 행동이 나머지 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-> 기업간의 상호 의존도 높다 -> 전략이 발생(게임 이론)
- 비가격 경쟁, 담합 등에 비공정 행위가 증가한다
내쉬전략
- 복수개 존재 할 수 있음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테셋 용어 정리 (0) | 2019.08.09 |
---|---|
거시경제의 균형 - 균형 국민 소득의 결정 (0) | 2019.08.05 |
시장 이론 - 완전 경쟁 시장 (0) | 2019.08.02 |
한계 기술 대체율 체감의 법칙 (0) | 2019.07.30 |
단기비용 함수 (0) | 2019.07.30 |